코로나19 목회 환경에 대한 합신 교단의 대응 방안 제언

대한예수교장로회(합신) 총회신학연구위원회가 8일 “코로나19 사태와 이에 따른 목회 환경에 대한 합신 교단의 대응 방안에 대한 제언”을 발표했다.이 위원회는 “우리는 지금 코로나19 사태와 같은 대규모 전염병으로 인하여 정상적인 예배와 교회 활동을 할 수 없는 슬픈 상황에 놓여 있다”며 “이에 교단 산하 목회자들은 이런 상황에서 어떻게 목회를 해야 하는지에 관한 지혜로운 방향 제시가 필요하다”고 제언 취지를 설명했다.위원회는 “지금까지는 이제껏 경험하지 못한 이런 사태로 인하여 임시적인 방안으로 온라인 예배 및 각종의 대응 방안을 당회가 결정하여 시행해 왔다”며 “하지만 사태가 짧은 시일 안에 종식되지 않고 비슷한 사태가 반복적으로 일어날 것에 대한 사회적인 염려가 있는 상황에서 이러한 변화된 상태와 관련하여, 목회를 어떻게 해야 할지에 대한 진지한 논의와 대안이 필요한 때”라고 평가했다. 다음은 해당 글 전문.코로나19 사태와 이에 따른 목회환경에 대한 합신 교단의 대응 방안에 대한 제언우리는 지금 코로나19 사태와 같은 대규모 전염병으로 인하여 정상적인 예배와 교회 활동을 할 수 없는 슬픈 상황에 놓여 있습니다. 이에 교단산하 목회자들은 이런 상황에서 어떻게 목회를 해야 하는 지에 관한 지혜로운 방향 제시가 필요합니다. 지금까지는 이제껏 경험하지 못한 이런 사태로 인하여 임시적인 방안으로 온라인 예배 및 각종의 대응 방안을 당회가 결정하여 시행해 왔습니다. 하지만 사태가 짧은 시일 안에 종식되지 않고 비슷한 사태가 반복적으로 일어날 것에 대한 사회적인 염려가 있는 상황에서 이러한 변화된 상태와 관련하여, 목회를 어떻게 해야 할지에 대한 진지한 논의와 대안이 필요한 때입니다. 즉 임시적 방편으로 해온 것을 지속할 수 있는지 평가하고, 적법한 목회 원리 아래 상황에 따른 변화를 반영하는 목회 방안을 마련할 필요가 있습니다. 그러나 상황이 회복된다면 본래의 목회로 돌아가는 것이 마땅한 줄로 알고, 이를 위하여 간구해야 할 것입니다. 이러한 사안을 고려하여 총회 임원회의 요청에 따라 신학 연구위원회는 다음과 같이 제언을 드립니다.1. 합신 교단의 교회 이해와 목회의 기본 원리합신 교단의 목회는 성경이 가르치는 기본 원리를 따릅니다. 성경이 가르치는 기본 원리란, 웨스트민스터 신앙고백서 및 대?소요리문답과 장로회 정치와 권징조례와 예배모범을 교의와 규례의 표준으로 삼습니다(헌법 제9장 헌법선언문). 우리의 목회원리는 코로나19 이전과 이후가 달라질 수 없습니다. 우리는 항상 성경에서 가르친 대로 교회를 이해하고, 목회해야 합니다. 그러므로 목회의 기본적인 원리는 동일하며, 언제나 같아야 합니다.그러나 코로나19 사태를 통해 드러난 바와 같이, 인간의 삶의 상황은 복잡하며 목회적 환경도 변합니다. 역사적으로 볼 때, 초대교회, 중세교회, 종교개혁 교회, 그리고 근대와 현대교회의 목회적 환경은 각각 달랐습니다. 하지만 성경이 가르치는 교회의 이해와 목회의 원리는 본질에서 전혀 달라지지 않는다는 것이 개혁신앙을 믿는 우리의 고백입니다.2. 코로나19 사태가 목회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평가(1) 부정적 영향첫째, 면대면 접촉을 피하는 사회 분위기에 편승하여 비대면 신앙생활에 안주하는 교인들에 맞추어 예배하려는 시도가 나타날 수 있습니다. 이럴 경우 현장 예배의 본질과 중요성이 훼손될 수 있습니다.둘째, 대인 관계를 기피하는 사회 현상에 따라 개인 전도가 위축될 수 있으며, 해외여행 제한으로 인해 해외 선교도 상당히 약화될 수 있습니다.셋째, 상담과 심방의 내용에 따라 대면이 필요할 경우조차 편의적으로 비대면 방식으로 해결하려는 태도를 갖는다면, 성도의 영혼을 돌보는 목회의 본질에서 벗어날 수 있습니다.넷째, 경제적 위축과 온라인 예배로 인하여 성도의 헌상의식이 약화되어 헌금이 줄어들 수 있습니다. 이를 염려하여 헌상에 대한 올바른 인식을 가르치기보다 지나치게 헌금을 독려함으로 부작용이 초래될 수 있습니다.다섯째, 비대면 예배가 일상화될 경우, 수세자와 수찬자가 현장에 없는 상태에서 온라인으로 세례와 성찬을 시행하는 잘못을 범할 수 있습니다.여섯째, 현장 예배나 회집의 기회가 줄어들면서 성도의 교제는 물론 교회의 공동체 의식이 약화될 수 있습니다.(2) 긍정적 영향첫째, 코로나19 사태를 계기로 교회는 그동안 당연시 여겼던 공예배와 주일성수가 얼마나 소중한지를 깨닫고,…

0 Comments